탄도항 (안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도항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항구이다. 참나무가 울창하여 숯을 많이 구워내던 것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서해안의 갯벌과 풍부한 수산자원을 바탕으로 바다낚시, 갯벌 체험 등 해양 생태 학습장으로 활용된다. 어항구역은 수역과 육역으로 나뉘며, 방파제, 물양장, 호안, 선양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수산물 직판장과 같은 시설이 있으며, 바지락, 꽃게, 낙지 등 다양한 어종이 잡힌다. 누에섬 등대전망대로 걸어갈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산시의 어항 - 풍도항
풍도항은 대한민국 풍도에 위치한 어항으로, 0.27km² 면적의 수역에 530m 방파제와 170m 물양장 등의 주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이자 스킨스쿠버 명소, 해변 등 관광 명소가 주변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어사항
어사항은 충청남도 홍성군에 있는 어항으로, 수역과 육역으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지방어항 - 우동항
우동항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있는 어항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설치되어 도다리, 삼치 등이 잡히며, 해양관광복합형 어항으로 정비될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부산민주공원
부산민주공원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하며 부마민주항쟁 20주년 기념으로 1999년에 개관한 공원으로, (사)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가 부산광역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며, 부산광역시 조례에 따라 관리된다. - 대한민국의 지리에 관한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탄도항 (안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탄도항 |
유형 | 지방어항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선감동 |
시설관리자 | 안산시장 |
위도 | 37.1903804 |
경도 | 126.6462136 |
2. 연혁
탄도(炭島)는 참나무가 울창하여 숯을 많이 구워내던 것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탄도항은 서해안에 갯벌이 형성되어 있고 수산 자원이 풍부하여 바다낚시, 갯벌 체험 등 해양 생태 학습장으로 적합하다.
2. 1. 명칭 유래
참나무가 울창하여 숯을 많이 구워냈다고 하여 탄도(炭島)라 불린 마을이다. 탄도항은 서해안 천해의 갯벌이 형성되어있고 수산자원이 풍부하여 바다낚시 및 갯벌체험 등으로 해양생태 학습장으로 적합하다.2. 2. 어항 지정 및 개발
탄도(炭島)는 참나무가 울창하여 숯을 많이 구워내던 것에서 유래한 지명이다. 탄도항은 서해안에 갯벌이 형성되어 있고 수산 자원이 풍부하여 바다낚시, 갯벌 체험 등 해양 생태 학습장으로 적합하다.3. 어항 구역
- 수역
탄도항의 항계선은 탄도 방조제의 탄도 배수갑문 서측 탄도항 호안시점 북측의 210m지점(N37° 11′29.45″ E126° 38′45.30″)으로부터 누에섬 북동측 공유수면 해상 530m지점 (N37° 11′19.77″ E126° 38′27.49″) 및 누에섬 동측의 공유수면 해상 580.0m의 기점을 경유하여 이점(N37° 11′08.57″ E126° 38′32.88″)에서 직각방향 410m를 연결한 공유수면의 지점(N37° 10′58.26″ E126° 38′43.35″)과 연결되어 탄도 방조제 중간점을 연결하는 선내수역(433,080m2)이다.
- 육역 : 44,970m2
- * 물양장 42,453m2 (선감동 717, 717-2, 717-3, 산158, 산159, 산160, 산160-2, 산160-3)
- * 선착장 2,517m2 (선감동 726)
3. 1. 수역
탄도항의 어항구역은 다음과 같다.[1] 탄도항의 항계선은 탄도 방조제의 탄도 배수갑문 서측 탄도항 호안시점 북측의 210m지점(N37° 11′29.45″ E126° 38′45.30″)으로부터 누에섬 북동측 공유수면 해상 530m지점 (N37° 11′19.77″ E126° 38′27.49″) 및 누애섬 동측의 공유수면 해상 580.0m의 기점을 경유하여 이점(N37° 11′08.57″ E126° 38′32.88″)에서 직각방향 410m를 연결한 공유수면의 지점(N37° 10′58.26″ E126° 38′43.35″)과 연결되어 탄도 방조제 중간점을 연결하는 선내수역(433,080m2)이다. 육역은 44,970m2이며, 물양장 42,453m2 (선감동 717, 717-2, 717-3, 산158, 산159, 산160, 산160-2, 산160-3), 선착장 2,517m2 (선감동 726)이다.3. 2. 육역
탄도항의 육역은 44,970m2이다.[1]4. 어항 시설
탄도항은 방파제 175m, 물양장 180m, 호안 210m, 선양장 30m, 부잔교 30m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2] 또한, 방파호안 180m, 호안 210m, 방파제 45m, 물양장 160m, 선양장 12m 등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2]
5. 정비 계획
수산물 직판장(부지 15,137m2, 건축면적 1,234.9m2)과 공중화장실(66.14m2)이 있다.[3]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함선(30*15m) 1기, 도교(35*3.5m) 1기, 및 수도 등 부대시설을 설치한다.[4]
5. 1. 시설 확충
수산물 직판장(부지 15,137m2, 건축면적 1,234.9m2)과 공중화장실(66.14m2)이 있다.[3]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함선(30*15m) 1기, 도교(35*3.5m) 1기, 및 수도 등 부대시설을 설치한다.[4]5. 2. 어촌뉴딜 300 사업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 함선(30*15m) 1기, 도교(35*3.5m) 1기, 및 수도 등 부대시설을 설치하였다.[4] 수산물 직판장(부지 15,137m2, 건축면적 1,234.9m2), 공중화장실(66.14m2)이 있다.[3]6. 주요 어종
7. 특징
탁 트인 바다와 시원한 바닷바람을 즐길 수 있는 여유와 낭만이 가득한 항구다. 간조 시엔 누에섬 등대전망대까지 걸어갈 수 있다. 이국적인 항구의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고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아담한 항이다.[5]
참조
[1]
간행물
지방어항구역 변경고시
경기도
2007-07-23
[2]
간행물
어항시설 기본계획 고시
경기도
2000-08-14
[3]
간행물
지방어항 개발계획 고시
경기도
2006-05-01
[4]
간행물
지방어항 개발계획 고시
경기도지사
2017-06-30
[5]
서적
두바퀴로 네바퀴로
농림수산식품부
2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